HOME  >>  Single Blog

듀퐁분석(DuPont Analysis) 소개와 듀퐁분석도 작성법

Published: May 23, 2023    |     null MIN READ

Share

blog-banner

듀퐁분석(DuPont Analysis)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여러 재무비율 항목으로 분해해 기업의 경영 실적을 심도있게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본문은 듀퐁분석을 자세히 소개하고 FineBI를 통해 듀퐁분석을 빠르게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듀퐁분석(DuPont Analysis)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1920년대 듀퐁 기업에서 처음 고안해냈으며 현재까지도 기업의 재무 관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듀퐁분석 은 재무비율 사이의 관계를 활용해 재무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줍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 수익률을 평가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여러 재무비율 항목으로 분해해 기업의 경영실적을 심도있게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본문에는 듀퐁분석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듀퐁분석 을 구성하고 있는 수 많은 지표들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빅데이터 셀프 분석 소프트웨어 FineBI를 통해 듀퐁분석 을 빠르게 수행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듀퐁분석(DuPont Analysis)이란?

듀퐁분석 은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에 대한 분석 기법입니다.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경영 현황을 측정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의 증가 혹은 감소 원인을 심도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듀퐁분석 을 통해 각 지표가 자기자본이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산 회전율, 매출액 순이익률, 자기자본 승수 가운데 어떤 지표가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image (42).png

 

듀퐁분석 의 공식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매출 순이익률 * 총 자산 회전율 * 자기자본 승수

ee676f60edc801cfd4653f00a3a945c.png

 

1. 매출액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매출액 순이익률(당기 순이익/매출액)은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10% 라는 것은 기업이 100 위안짜리 상품을 하나 판매할 때마다 순이익 10 위안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 자산 회전율(Asset Turnover)

자산 회전율(매출액/총자산)은 기업의 운영 능력을 나타냅니다.

자산 회전율이 10% 라는 것은 기업이 100 위안의 자산을 투입할 때마다 10 위안의 매출액을 창출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3. 자기자본 승수(Equity Multiplier)

자기자본 승수(총자산/자기자본) = 1/(1-자산 부채율) 이는 기업의 자본 구조를 나타냅니다.

자기자본 승수가 2 라는 것은 주주가 1위안을 투자할 때마다 기업은 3위안의 자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듀퐁분석 해석법

기업 경영의 목표는 대부분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 지표는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과연 높을 수록 좋은 걸까요?

듀퐁분석법으로 자기자본이익률의 구성 지표를 하나씩 해체해 보아야 기업의 현재 경영 상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개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매출액 순이익률(순이익/매출액): 원가를 관리하고 최종 판매가를 높임으로써 순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 업무는 원가 관리 부서에서 담당합니다. 
  • 자산 회전율(매출액/총자산): 자산 회전율을 높이면 동일한 자산을 투입했을 때 더 높은 매출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 업무는 사업 관련 담당합니다.
  • 자기자본 승수(총자산/자기자본): 재무 상의 레버리지 운용을 의미합니다. 이 업무는 재무 관련 부서에서 담당합니다.

 

 

듀퐁 분석도 (DuPont Analysis) 제작법

효과적인 듀퐁분석 을 위해서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숫자만 빼곡히 차있는 차트 보다는 자기자본이익률, 자산 회전율, 자기자본 승수 등의 핵심 지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각화 차트를 통해 평가와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이번에는 FineBI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해보겠습니다. 

image (41).png

FineBI는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BI 툴로써, 전문적이고, 사용이 편리합니다. 간편하게 마우스 클릭과 드래그 만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수요에 따라 데이터 처리와 탐색형 OLAP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마치 셀프서비스 데이터 분석을 손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죠. 

GIF 2023-3-2 17-07-46.gif사용의 편의성은 작동과 인터페이스 뿐 아니라 데이터 처리에서도 확인됩니다. FineBI는 다양한 계산공식, 필터링 컴포넌트를 보유하고 있어, SQL과 코드를 거의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FineBI에는 50가지 이상의 차트 양식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시장의 거의 모든 기본 및 전문 차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뛰어난 동적 효과와 강력한 인터렉션 체험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모바일 혹은 대형 LED 스크린을 통해 수정 및 기타 작업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support 50+ types of charts_.png

이제 실전 사례를 통해 듀퐁 분석도를 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도의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1.데이터 정리 및 준비

먼저 FineBI에서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데이터를 깔끔하게 정리하여 필요한 상태로 만듭니다.

FineBI는 각종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Oracle, SQL Server, MySQL 등 데이터베이스 뿐 아니라 SAP BW, HANA, Essbase 등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WPS图片(1).png

 

2.데이터 테이블 병합

샘플 데이터에는 이윤과 자산부채 두 가지 데이터 테이블이 제공됩니다. 듀퐁분석 시, 이 두 가지 데이터 테이블 모두 계산에 사용되기 때문에 먼저 통합을 시켜야 합니다.

1)새로 만든 「기업 이윤 데이터」 테이블을 선택하고 모든 필드를 선택합니다.

3824911987.png

「위 아래 통합」 단계를 추가하고 「기업 자산 부채 분석」 테이블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1762049559.png

「기업 이윤 데이터」의 이름을 「자산 부채-이윤 데이터」로 수정한 뒤 「저장 및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3.컴포넌트 만들기

좌측 하단 모서리의 「컴포넌트」를 클릭하여 컴포넌트를 만들고 방금 완성한 「자산 부채-이윤 데이터」 테이블을 선택합니다.

1680488079701854.png

4.매출액 순이익률 계산

「현재 금액」 지표를 선택하고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한 뒤 「복사」를 선택합니다. 이름을 「순이익」으로 작성하고「상세 필터링」을 선택합니다. 

1650567731.png

상세 필터링 조건으로 「최종 계정명」을 선택하고 「순이익」에 속하도록 한 뒤 「확인」을 클릭합니다.

17699830.png

혹은 아래 그림과 같이 「계정 ID」를 선택하고 「500」에 속하도록 합니다.

797001450.png

마찬가지로 「현재 금액」 척도를 다시 복사하고 이름을 「매출액」으로 바꾼뒤 「상세 필터링」을 진행합니다. 필터링 조건은 「최종 계정명」을 선택하고 「영업이익」에 속하도록 한 뒤 「확인」을 클릭합니다.

2327549043.png

「계산필드」를 추가하고 이름을 「매출액 순이익률」으로 작성합니다. ‘SUM_AGG (Net profit)/SUM_AGG (Sales revenue)’ 공식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2785495211.png

5.자산 회전율 계산

다음으로 자산 회전율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컴포넌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매출액」과 「총자산」을 구한 다음, FineBI에서 공식을 통해 「자산 회전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말 금액」 필드를 복사하고 이름을 「총 자산」이라고 바꾼 뒤 「총 자산」에 상세 필터링 조건을 설정합니다. 「최종 계정명」을 선택하고 「자산 합계」에 속하도록 하거나 「계정 ID」를 선택해 「100 에」 속하도록 합니다.

4212068965.png

계산 필드를 다시 추가하고 이름을 지정합니다. ‘SUM_AGG (Sales revenue)/SUM_AGG (Total assets)’ 공식을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3561056437.png

 

6.자기자본 승수 계산

1)먼저 자산부채비율(총 부채/총 자산)을 계산합니다.

「총 부채」 척도를 생성하고 「기말 금액」을 복사합니다. 총 부채로 이름을 바꾸고, 상세 필터링 조건을 설정합니다. 계정 ID는 「200220999」에 속하도록 하거나 「최종 계정명」은 「총 부채」에 속하도록 합니다.

3776389145.png

계산 필드를 다시 추가하고 이름을 지정한 뒤 ‘SUM_AGG (Total liabilities)/SUM_AGG Ttotal assets)’ 공식을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2567837314.png

2)계산 필드를 추가하고 이름을 지정한 뒤 ‘1/(1-Asset liability ratio)’ 공식을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3365544736.png

7.자기자본이익률 계산

자기자본이익률 = 매출액 순이익률 * 자산 회전율 * 자기자본 승수

계산 필드를 추가하고 이름을 지정한 뒤 ‘Net profit margin on sales * Asset turnover * Equity multiplier’ 공식을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2646424521.png

8.지표카드 생성

「지표카드」를 선택하고 「자기자본이익률」을 텍스트 상자로 드래그한 후 형식을 설정합니다.

2245183707.png

다른 지표들도 같은 방식으로 지표 카드를 생성합니다. 

이제 듀퐁분석도가 완성되었습니다. 완성된 듀퐁분석 차트를 다른 시각화 차트와 함께 대시보드에 배치하면 데이터를 한눈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 

Loan_Default_Risk_Analysis_page-0001.jpg

또한 FineBI를 통해 피라미드 모델, Kano Model (카노모델), BCG 매트릭스 모델, AARRR 퍼널 분석 모델, RFM 모델, 장바구니 분석 모델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 모델을 간편하게 구축하고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FineBI는 제조, 의약, 유통, 금융 등 다양한 산업의 비즈니스 분석 환경을 제공합니다. 관리자는 비즈니스 지표 데이터 분석과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즈니스 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image (44).png

또한 FineBI는 실무자들을 데이터 처리 및 시각화 업무에서 해방시켜줌으로써 데이터 분석, 데이터 관리,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상으로 듀퐁분석 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하단 버튼을 클릭하시면 FineBI를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ineBI와 함께 빅데이터 분석을 시작해보세요.

지금 바로 구현되어 있는 100개 이상의 산업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사용해 보세요.

FineBI 무료 체험